뭔데 뭔데
이번엔 또
무슨 코인인데???!!!!!!!!!!
스테이블코인이란?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은
미국 달러와 같은 실물 자산에 가치를 연동시켜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한 디지털 화폐.
주로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발행되며,
거래의 안정성과 신속성을 높이는 역할.
화폐시장에서의 의미
전통 화폐 대비 빠르고 저렴한 송금 수단
디지털 결제의 실용적 대안으로 부상
인플레이션이 높은 국가에서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 증가
무역시장과의 관계
국제 거래에서 환율 리스크 최소화
글로벌 기업의 공급망 결제에 활용 가능
무역 효율성 제고와 비용 절감 효과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에 도전
자본 통제력이 약한 국가에서 금융탈중앙화 유도
디지털 경제 활성화와 함께 새로운 세수 모델 가능성
스테이블코인 시행 국가 및 동향
미국: USDT, USDC 중심으로 민간 주도 시장 성장
중국: 디지털 위안화(DCEP) 정부 주도 실험 확대
유럽: MiCA 법안 통해 스테이블코인 규제 마련
한국: KODA 등 민간 기관 중심 실증 테스트 중
브라질, 나이지리아 등: 금융 인프라 대안으로 채택 확산
환영하는 국가의 배경
① 인플레이션 및 환율 불안정 국가
예: 아르헨티나, 나이지리아
자국 통화 가치 하락으로 인해
스테이블코인을 안전자산으로 활용
외환 보유고가 부족한 국가에선
USDT 같은 코인이 달러 대체 수단으로 쓰임
② 금융 인프라가 미비한 국가
예: 케냐, 필리핀
은행 계좌가 없는 인구를 위한
모바일 기반의 결제 수단으로 활용
해외 송금 수수료 절감 등 금융 접근성 개선 효과
③ 디지털 경제 활성화를 원하는 국가
예: 엘살바도르, 싱가포르
국가 차원에서 암호자산 허브 구축 시도
블록체인 산업과 연계한 투자 유치 및 혁신 정책 추진
규제하는 국가의 배경
① 통화주권 침해 우려
예: 중국, 인도
스테이블코인이 달러와 연동되어 있으면
자국 통화 사용이 줄고, 통화정책의 효력이 약해짐
자금 흐름 추적 어려워 자본 유출 통제 불가 우려
② 금융 범죄 및 탈세 가능성
스테이블코인은 익명성이 높아
자금세탁, 테러자금, 탈세 우려가 큼
규제되지 않으면 비공식 금융시장이 커질 위험
③ 기존 금융 시스템 보호
중앙은행 및 상업은행의
기존 역할 약화 가능성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 도입 전까지는
민간 스테이블코인을 견제
경제가 불안정하고 금융 인프라가 약한 국가는
실용성과 안정성을 이유로
스테이블코인을 환영
반면,
경제가 안정되고
금융 통제력이 중요한 국가는
주권 보호와 금융질서 유지를 위해 규제
공.감★
오늘도 행복하세요-☆
'공부 한 잔'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MIE 부모님께 - T.O. 있나요 [ 수강신청 편 ] (0) | 2025.05.09 |
---|---|
CURRENCY ARBITRAGE (2) | 2025.05.07 |
잠깐 - [ AI의 윤리적 이슈와 규제 편 ] (0) | 2025.03.31 |
기술 동향 (2025.3) - [ Artificial Intelligence(AI) 편 ] (0) | 2025.03.25 |
공부 한 잔 - [ Jennie - "Like Jennie" ] (1)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