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월
 
이제 갓 유치원에 입학한 아이들이
 
이제 슬슬
 
긴장이 풀리고
친구들과 
본격적으로
어울려 놀기 시작합니다
 
 
문득
유치원에서
전화가 오기도 합니다
 
 

 
 
아이들의 다툼
 
이제 시작입니다 여러분!
 
아이들이 유치원에서 친구들과 어울리다 보면
의도치 않게
상대에게 피해를 줄 수도 있습니다
 
 
아이들의 다툼이지만
아직은 어리기에
어른들의 뒷수습이
필요한 시기죠
 
부모로서 이런 상황에서
피해 아동과 부모에게
진심 어린 사과를 전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올바른 사과 방법과
효과적인 소통 전략
남겨볼께요
 
 


 
 
 

1. 상황 파악 및 아이와 대화하기

 
 
 

아이들의 상황전달은
아직 미숙합니다
 
잘못된 정보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해두셔야 합니다
 
때로는
가해자와 피해자가
바뀌기도 합니다
 
조심스럽게 
해결해 나가야 합니다

 

 
 
 
① 아이의 입장에서 먼저 이야기 들어주기

  • "무슨 일이 있었는지 이야기해줄래?"
  • "그때 어떤 기분이었어?"

아이의 행동이 단순한 실수인지, 감정적인 문제에서 비롯된 것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② 피해를 준 행동이 왜 잘못되었는지 알려주기

  • "친구가 다치거나 속상했을 것 같아. 네가 친구 입장이었다면 어땠을까?"
  • "앞으로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

이 과정을 통해 아이가 스스로 잘못을 이해하고 공감하도록 도와야 합니다.

 

 

2. 피해 아동과 부모에게 사과하는 방법

 
① 직접 대면하여 사과하기 (가능한 경우)
피해 아동과 부모가 대화를 원할 경우, 직접 만나 사과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예시 대화 ]
★ 부모: "안녕하세요. 저는 [아이 이름]의 엄마/아빠입니다. 우리 아이가 [피해 아동 이름]에게 [행동]을 해서 속상했을 것 같아요. 아이에게도 이야기를 나누며 잘못을 이해하도록 지도하고 있습니다. 불편을 드려 죄송합니다."

☆ 아이에게 유도할 말: "미안해, 내가 [때렸어/밀었어/장난감을 뺏었어]. 앞으로 조심할게."
👉 아이가 직접 사과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아직 표현이 서툴다면 부모가 도와줄 수 있습니다.

 
 
② 문자 또는 전화로 사과하기 (대면이 어려운 경우)
상대 부모가 바쁘거나 직접 만나기 어려운 경우, 문자나 전화로 사과를 전할 수도 있습니다.
 

📌 문자 예시:
"안녕하세요. 저는 [우리 아이 이름]의 부모입니다. 오늘 유치원에서 [피해 아동 이름]에게 [행동]을 해서 속상하게 한 것 같아 연락드립니다. 아이와 충분히 이야기하며 다시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지도하겠습니다. 혹시 아이가 많이 속상해하지는 않았는지 걱정됩니다. 다시 한번 죄송합니다."

📌 전화 예시:
"안녕하세요, [피해 아동 이름] 부모님. 오늘 우리 아이가 실수로 [행동]을 해서 속상하셨을 것 같아요. 정말 죄송합니다. 아이와 충분히 이야기하고 앞으로 주의하도록 하겠습니다."
👉 너무 길게 변명하거나 과하게 사과하기보다는 짧고 진정성 있게 표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유치원과 협력하여 문제 해결하기

 
유치원 선생님과도 상의하여 아이의 행동을 지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선생님, 오늘 우리 아이가 이런 일이 있었다고 들었는데,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지도하면 좋을까요?"
 "유치원에서도 불편을 끼쳐 드려 죄송합니다. 앞으로 더 신경 쓰겠습니다."
👉 유치원과 부모가 함께 해결하는 태도를 보이면 더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4. 다시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지도하기

① 아이에게 공감하는 대화법 가르치기

  • "친구가 다치거나 속상하면 어떤 기분일까?"
  • "앞으로는 친구가 싫어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하자."

②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기
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했을 때, 즉시 칭찬해 주세요.

  • "오늘 친구랑 사이좋게 놀아서 너무 기특해!"
  • "친구에게 장난감을 양보해서 정말 멋졌어!"

감정 조절하는 법 가르치기
화가 날 때 친구를 밀거나 때리는 대신, 말로 표현하도록 지도합니다.

  • "화가 나면 ‘나 지금 속상해’라고 말해보자."
  • "혼자 마음을 가라앉히는 시간이 필요하면 ‘잠깐만’ 하고 말해볼까?"

👉 이런 방법을 통해 아이가 점차 감정을 조절하고 건강한 대인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5. 피해 아동과 자연스럽게 관계 회복하기

사과 후에도 아이들끼리 어색해질 수 있으므로 자연스럽게 관계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함께 놀 기회를 만들어 주기
  • 친구에게 작은 그림이나 편지 주기
  • 놀이를 통해 다시 친해질 수 있도록 격려하기

 


 
 
 

이토록
교과서적으로
행동해 본 적이 
있나요?
 
오늘도 
아이를 통해
부모님도 성장합니다
 
기억하세요
이 모든 과정을
아이가 보고 있습니다
그 또한 성장하는 과정입니다

 
 
 
공감 

오늘도 아이와 함께 온 가족이 행복하세요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