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CCL 설정이란?

CCL(Creative Commons License)은 저작물의 사용 조건을 명확하게 표시하는 저작권 라이선스입니다.
저작권자는 CCL을 통해 자신의 콘텐츠를 어떤 조건으로 공유할 수 있는지 표시할 수 있으며, 이용자는 허용된 범위 내에서 저작물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CCL 설정의 주요 목적

저작권 보호: 창작자의 권리를 보호하면서도 자유로운 공유 가능
저작물 활용 확대: 사용자에게 명확한 이용 조건 제공
법적 분쟁 방지: 사전 허가 없이 사용 가능한 범위를 명확하게 설정

 

 


 

2. CCL 라이선스 종류

 

CCL은 조합 가능한 4가지 기본 요소로 구성되며, 이 요소들을 조합하여 6가지 라이선스 유형을 만들 수 있습니다.

 

🔹 4가지 CCL 기본 요소

요소아이콘의미

저작자 표시 (BY) 저작자를 반드시 표시해야 함
비영리 (NC) 비영리 목적 사용만 가능
변경금지 (ND) 저작물을 수정 없이 그대로 사용해야 함
동일조건 변경허락 (SA) 2차 저작물도 동일한 라이선스 적용해야 함

 

🔹 6가지 CCL 라이선스 유형

라이선스 유형아이콘사용 조건

저작자 표시 (CC BY) 저작자만 표시하면 자유롭게 사용 가능
저작자 표시-비영리 (CC BY-NC) 비영리 목적 사용만 허용
저작자 표시-변경금지 (CC BY-ND) 원본 그대로 사용해야 하며 수정 불가
저작자 표시-동일조건 변경허락 (CC BY-SA) 2차 저작물도 동일한 라이선스 적용해야 함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금지 (CC BY-NC-ND) 비영리 목적 & 원본 그대로만 사용 가능
저작자 표시-비영리-동일조건 변경허락 (CC BY-NC-SA) 비영리 목적 & 2차 저작물 동일 조건 적용

 

 

 


 

3. CCL 설정 방법

 

CCL 설정은 웹사이트, 블로그, 유튜브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블로그 & 홈페이지에서 CCL 설정하기

1️⃣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공식 사이트 방문
2️⃣ "라이선스 선택하기"에서 원하는 옵션 선택
3️⃣ 제공된 HTML 코드 또는 텍스트를 블로그/홈페이지에 삽입

📌 네이버 블로그 및 티스토리에서는 기본적으로 CCL 설정 기능이 제공됨!

🔹 유튜브 영상에 CCL 적용하기

  • YouTube 스튜디오 → 동영상 설정 → "Creative Commons 라이선스 적용" 선택
  • 다른 사용자가 동일한 라이선스로 재사용 가능

 


 

4. CCL과 저작권의 차이점

  

구분 CCL (Creative Commons License) 일반 저작권
보호 방식 저작물 사용 조건을 공개적으로 설정 모든 권리를 창작자가 소유
사용 허가 일부 조건 하에 자유롭게 사용 가능 창작자의 별도 허가 필요
적용 예시 위키백과, 플리커, 유튜브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신문 기사, 영화, 음원 등

 

🔹 일반 저작권이 "All rights reserved(모든 권리 보유)"라면, CCL은 "Some rights reserved(일부 권리 허용)"의 개념입니다.

 

 


 

5. CCL 설정 예시

 

📌 1) 블로그에서 CCL 설정하는 방법

(예시: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CCL 설정 방법
  1. 블로그 관리 → "글쓰기 설정" 클릭
  2. **"공개 설정"**에서 CCL 적용 선택
  3. 원하는 CCL 라이선스를 선택 후 저장
🔹 티스토리 블로그 CCL 설정 방법
  1.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 접속
  2. "설정" → "라이선스" 클릭
  3. CCL 옵션에서 원하는 라이선스 선택 후 저장
📌 블로그 글에서 CCL을 직접 표시하는 예시
html
복사편집
<p>이 글은 <a href="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4.0/deed.ko" target="_blank">CC BY 4.0</a>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p>
 이 코드를 글 하단에 삽입하면, CCL 라이선스를 명확하게 표시 가능

 

 


 

📌 2) 유튜브에서 CCL 설정하는 방법

🔹 유튜브에서 CCL을 설정하는 방법

  1. 유튜브 스튜디오(YouTube Studio) 접속
  2. "동영상 관리" → "업로드한 동영상 선택"
  3. **"세부 정보"**에서 CCL(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 선택
  4. 저장 후 적용

📌 유튜브 CCL 적용 예시
✅ CCL 설정이 적용된 영상에는 "Creative Commons - Attribution 라이선스(CC BY)" 표시가 자동 적용됨

 

 


 

📌 3) 웹사이트 및 문서에서 CCL 설정하는 방법

 


🔹 HTML을 활용한 CCL 표시 예시

 
<p>이 문서는 <a href="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sa/4.0/" target="_blank">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동일조건변경허락(CC BY-NC-SA 4.0) </a>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p>


 HTML 코드 적용 시, 해당 문서나 웹사이트에서 저작권 설정을 명확하게 안내 가능
🔹 PDF, PPT 문서에서 CCL 설정 예시
  • 문서 하단에 CCL 로고와 함께 "이 문서는 CC BY-NC-ND 라이선스에 따라 공유됩니다." 문구 추가
  • 예시:📜 저작권 안내: 본 문서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금지(CC BY-NC-ND 4.0) 라이선스에 따라 배포됩니다.

 

6. CCL 설정 시 주의사항

 

CCL이 적용된 콘텐츠라도 초상권, 상표권 등 다른 법적 문제는 따로 검토해야 함
CCL을 적용하더라도 저작자 정보를 반드시 표시해야 함
CCL이 적용된 콘텐츠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경우 해당 라이선스를 다시 확인해야 함

 

 


 

7. CCL 설정이 유용한 이유

 

창작물 공유 활성화: 창작물의 확산을 장려하고 더 많은 사람이 이용 가능
저작권 보호: 명확한 사용 조건을 제시하여 무단 도용 방지
검색 엔진 노출 증가: CCL 적용 콘텐츠는 검색 엔진에서 더 잘 노출될 가능성이 있음

 

 

 

 


 

 

 

 

오늘도 맘껏 행복하세요-☆

728x90

+ Recent posts